연구원 노트 22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의 원리와 종류

1.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란? 크로마토그래피는 혼합물의 개별 성분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데 사용되는 실험 기법으로 주로 화학, 생화학 및 환경 과학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크로마토그래피는 고정상과 이동상을 이용하여 2가지 이상의 성분이 섞여있는 혼합물을 이동 속도 차이에 따라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입니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해하기 위해선 먼저 고정상과 이동상을 알아야 합니다.  * 고정상 : 혼합물을 분리할 때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하는 상으로 모세관이나 컬럼 등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않고 시료 및 이동상과 상호작용을 합니다. (ex. 거름종이, 실리카겔, 활성탄, 산화알루미늄 등)  * 이동상 : 혼합물을 분리할 때 시료를 운반하는 상으로 액체 또는 기체를 사용합니다. 2. 크..

연구원 노트 2024.07.08

COA(Certificate of Analysis) : 시험성적서란?

위와 같이 시약을 주문할 때 MSDS와 함께 보이는 COA는 무엇일까요??오늘은 COA(시험 성적서)가 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시험성적서(COA)란? 시험성적서(CoA)는 Certificate of Analysis의 약자로  시약의 분석 성적서(분석 증명서)를 뜻합니다. 만들어진 시약이 지정된 품질에 맞는지 개별적으로 테스트하여 나온 값을 정리해 둔 자료입니다. 정확한 연구결과를 위해서 COA에 기재된 시약의 세밀한 정보까지 확인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COA의 구성요소1) 제품 정보 : 제품 이름, 배치 번호, 제조 날짜 등의 변하지 않는 정보들은 보통 윗부분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2) SPECIFICATION : 순도, 효능, 오염물질 유무 등 제품 홈페이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략적인 정보..

연구원 노트 2024.07.04

화학물질 경고표지 GHS-MSDS란?

시약을 구매해보신 적이 있다면 이런 경고표지를 한 번쯤은 보셨을 겁니다!  화학물질 경고표지(GHS-MSDS)는 나라마다 다른 MSDS 방식을 통일화 한 자료로 해당 화학물질의 유해, 위험정보를 쉽고 명확히 알 수 있도록 용기 및 포장에 붙이는 경고표지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고표지에 들어가는 항목과 그림문자의 각 의미를 설명드리겠습니다.    경고 표지에 들어갈 내용 명칭해당 대상화학물질의 명칭그림문자화학물질의 분류에 따라 유해 · 위험의 내용을 나타내는 그림신호어유해 · 위험의 심각성 정도에 따라 표시하는 "위험" 또는 "경고" 유해.위험 문구화학물질에 노출되거나 부적절한 저장 · 취급 등으로 발생하는 유해 ·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리는 주요 유의사항예방조치 문구 화학물질에 노출되거나 부적절한..

연구원 노트 2024.07.02

시약 등급의 종류 (GRADE)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시약 등급의 종류와 그 의미를 설명합니다. 각 등급이 어떤 기준으로 나뉘며,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실험실에서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시약의 등급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약은 순도와 용도에 따라 여러 등급으로 나뉘며, 각 등급은 특정한 목적과 요구 사항을 충족합니다.    국가적으로 공인된 품질의 시약 등급현재 우리나라에서 공인된 품질 기준을 가진 등급은 ACS, JIS, KS 등이 있습니다. 또 다른 국제 공인 규격으로는 "약전"규격이 있는데 의약품을 제조하거나 분석할 때 사용 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품질 규격으로 인체에 해롭거나, 위험한 성분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ACS G..

연구원 노트 2024.07.01

MSDS란 무엇인가: 화학 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필수 문서

1.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란?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는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입니다. MSDS는 화학물질의 유해성, 취급 방법, 응급 조치 요령 등을 상세히 설명하여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모든 사람의 안전을 보장합니다 . 2. MSDS의 중요성사업주 : MSDS상의 유해성, 위험성정보, 취급 저장방법, 응급조치요룡, 독성 등의 정보를 통해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관리를 합니다.근로자 : MSDS를 통해 자신이 취급하는 화학물질의 유해성,위험성 등에 대한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직업병이나 사고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게 됩니다. MSDS는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이를 통해 ..

연구원 노트 2024.06.28

CAS 번호란 무엇인가: 화학 물질에 부여된 고유 번호

CAS 번호는 화학 물질에 부여된 고유 번호로, 화학 물질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위해 필요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CAS 번호의 정의, 구조, 및 중요성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시약을 구매하거나 시약 정보를 알아볼 때 한번쯤은 CAS 번호를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그렇다면 CAS NO. 는 무엇일까요??  1. CAS NO.란? CAS 번호는 Chemical Abstracts Service의 약자로 화학 물질의 고유 식별 번호를 뜻합니다. 화학물질은 서로 다른 동의어가 많을 뿐 아니라 화학식도 조금씩 다르게 표기되는 경우가 있어서 전 세계적으로 화학 물질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추적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 CAS 번호의 구조 CAS 번호는 최대 10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고 하이픈(-)을 이용..

연구원 노트 2024.06.27

실험실 폐시약의 관리 및 폐기 방법

실험실 폐기물 시약의 적절한 관리 및 폐기는 실험실 안전과 환경 보호를 위해 아주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폐기물 시약을 어떻게 관리하고 폐기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폐시약은 실험실, 병원, 산업 현장에서 사용된 후 버려지는 화학 물질을 의미합니다. 적절한 관리와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경과 인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폐시약 관리 및 처리 방법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폐시약이란? 실험실에 있는 각종 시약 중 유효기간이 경과했거나 유효기간은 남아있으나 사용하지 않는 시약, 시약용기의 표지가 훼손되어 내용물을 알 수 없는 시약 등이 있습니다.   2. 폐시약의 종류  유기 폐시약: 용매, 오일 등무기 폐시약: 산, 염기, 금..

연구원 노트 2024.06.25

메탄올과 에탄올의 차이점, 용도 및 안전 조치

메탄올과 에탄올의 주요 차이점을 알아보고, 각각의 특성과 사용 시 주의사항을 설명합니다.  메탄올과 에탄올의 차이점 메탄올과 에탄올은 서로 다른 특성과 용도를 가진 알코올입니다. 이들 간의 주요 차이점은 화학적 구조와 용도에 있으며 이들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에너지에서 제약에 이르는 산업에 매우 중요합니다. 메탄올은 CH₃OH 분자식을 가지며 주로 산업용 용매로 사용됩니다. 반면, 에탄올은 C₂H₅OH 구조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음료용 알코올로 사용됩니다. 두 물질 모두 휘발성이 있으나, 사용 목적과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화학 구조 및 특성1) 기본 화학 구조 메탄올( CH₃OH )에는 탄소 원자가 1개 있고, 에탄올( C₂H₅OH )에는 탄소 원자가 2개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

연구원 노트 2024.06.20

Solute / Solvent / Solution 의 개념 정리

연구원들에게는 아주 익숙한 용어이지만 헷갈릴 때가 종종 있어 Solute / Solvent / Solution의 개념을 정리해드릴게요😊 1. Solute (용질) 정의 : 녹는 물질 / A substance dissolved in a solvent 설명 : 용질은 용매(solvent)에 녹아 용액(solution)을 이루는 물질이에요. 용매에 용질을 첨가하면 분자 상호작용으로 인해 용질이 용매 전체에 고르게 분산돼요. 예시 : 소금물에서 소금(solute) 2. Solvent (용매) 정의 : 녹이는 물질 / A substance that dissolves other substances 설명 : 용매란 다른 물질을 녹일 수 있는 물질을 말해요. 용매는 용질의 분자 결합을 분해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만드는 ..

연구원 노트 2024.04.03

실험실 유리 기구를 완벽하게 관리하기 위한 필수 팁

실험기구의 세척은 실험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부분으로 오늘은 실험실 유리 기구의 완벽한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실험실 유리 기구 관리법 1. 그리스(Grease)가 있으면 안 돼요 그리스 및 기타 오염 물질은 유리가 균일하게 젖는 것을 방해하고, 유리의 벽에 붙어있는 잔여물은 액체의 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품에서는 특히 중요해요. 또한 피펫과 뷰렛에서는 메니스커스(Meniscus)가 왜곡되어 정확한 조정이 어려워요. 2. 사용 후 가능한 빠르게 세척해요 유리 제품 사용 후 묻은 잔여물에 따라 제거하는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바로 세척하지 않으면 잔여물의 종류가 기억나지 않을 수 있어요. 따라서 유리 기구는 사용 후 묻어있는 게 무엇인지 ..

연구원 노트 2024.04.03